전체 글2073 남산육교 남산육교 2023.06 서울 중구 남창동 1961년 12월에 만들어진 보행육교. 2023. 7. 25. 신신산우회 경북청과 신신산우회 2023.06 서울 관악구 신림동 2023. 7. 24. 떡 마춤전문 떡 마춤전문 서울떡집 2023.06 서울 관악구 신림동 (삼성동시장) 2023. 7. 24. 양복상회 진미식품 양복상회 고추장 된장 간장 도매 진미식품 2023.06 서울 관악구 신림동 신림동의 삼성동시장(구. 신림6동시장) 내의 가게 간판인데, 실내에 위치하고 있어서 그런지 상태가 새것과 다를바 없다. 마치 당시를 재현한 영화 세트장의 간판 같은 느낌이다. 쇠고기 다시다 간판 로고를 보면 1980년대 (혹은 1990년대 초반)에 단 간판으로 추정되는데, 이런 간판은 시장을 리모델링 하거나 가게가 이전해도 간판을 보존하거나 다른데서 그대로 사용해도 좋을 것 같다. 2023. 7. 24. 고추마늘 제일상회 마늘제일 늘제일상회농산 고추마늘제일 회농산물도산매 고추 마늘 제일상회 농산물도산매 2023.06 서울 관악구 신림동 2023. 7. 24. 해남 여인숙 해남 여인숙 2023.06 서울 관악구 신림동 2023. 7. 24. 아리땁 고급 숙녀복 아리땁 2023.06 서울 관악구 신림동 상당히 재밌는 간판이다. 처음에는 무심코 아리팝? 아라팝 으로 읽었는데, 자세히보면 "아리땁"으로 추정된다.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지만 "아리땁다"라는 말이 있으니 말이다. 더구나 여성 옷가게이니 상호가 근사하게 어울린다. (아리땁다 : 형용사. 마음이나 몸가짐 따위가 맵시 있고 곱다. / (유의어) 곱다, 아름답다, 예쁘다.) 예전엔 "아리따운"이라는 꾸밈말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한 것 같다. "땁"이라는 글자가 특히 인상적인데, "ㅏ"의 모음을 마치 "ㄷ" 자음처럼 쓴 점, 그래서 'ㄸ+ㄷ'로도 보이는 게 재밌다. 종성인 'ㅂ' 역시 방향이 일반적으로 쓰는 부리 방향(세리프 방향)과 반대인 것이 독특하다. 위에 글자 모음들의 방향과 디자인적으로 통일.. 2023. 7. 24. 세원 D 세원 2023.06 서울 관악구 신림동 2023. 7. 24. 오수선 옷수선 양장 수선 개인지도 ↓ 오수선 2023.06 서울 강북구 우이동 에어컨 실외기와 배관을 활용한 팝업 간판. '오수선'으로 '옷수선'의 겹치는 자음 ㅅ을 위트있게 처리한 것이 재밌다. 2023. 7. 22. 윤극영 색동회 회보 아리아 오르간 유치원 노래 윤극영 2023.06 서울 강북구 수유동 ('윤극영 가옥') , , , , 등의 동요를 만든 '반달 할아버지' 윤극영 가옥. 1970년부터 1988년 작고할 때 까지 지내던 주택이었는데 지금은 서울시에서 매입해서 유산으로 보존하고 있다. 작곡가의 손글씨를 따서 문패를 만든 듯하다. 아담한 1층 주택인데 리모델링을 해 유품과 관련 기록 등을 전시하고 있었다. 어릴 때 외우고 다닐만큼 좋아했던 동시 의 윤석중 시인 사진을 발견. 다른 '그림체' 얼굴의 작사가와 작곡가. ,, 등이 함께 작사곡으로 만든 동요들. 서울 어린이대공원에 있는 반달 노래비 사진. 은 1924년 한국 최초의 창작 동요라고 한다. 일제 말기 친일 행적에 대한 논란이 있기도 했다. 2023. 7. 22. 동덕주택 동덕주택 2023.06 서울 마포구 망원동 2023. 7. 22. 제일가든맨숀 (2) 제일가든맨숀 2023.06 서울 마포구 망원동 ( 2016.10 → ) 2023. 7. 22.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173 다음